전국 아파트 3년만 하락폭 최대…7월 아파트값 -0.2%

  • 뉴스1
  • 입력 2022년 8월 16일 14시 04분


코멘트
서울 강북구 북서울꿈의숲에서 바라본 노원구 아파트 단지의 모습. ⓒ News1
서울 강북구 북서울꿈의숲에서 바라본 노원구 아파트 단지의 모습. ⓒ News1
2022년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 (한국부동산원 제공)
2022년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 (한국부동산원 제공)
금리인상 우려 등으로 전국 아파트 가격이 3달째 하락하고 내림폭도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이 16일 발표한 ‘7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값 변동률은 -0.20%로 집계됐다. 2019년 7월(-0.22%) 이후 3년 만에 가장 큰 하락폭을 나타냈다.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 4월 보합을 기록했다가 5월에 -0.05%로 하락 전환, 6월 -0.10%, 7월 -0.20% 등 낙폭이 2배씩 늘고 있다.

같은 기간 아파트와 연립주택, 단독주택을 모두 포함한 전국 주택가격은 -0.08%를 기록, 전월(-0.01%) 대비 하락폭이 확대됐다. 수도권은 -0.04%에서 -0.14%로 하락폭이 늘었고, 지방은 0.03%에서 -0.01%로 하락 전환했다.

정부의 부동산 세제 완화 발표에도 금리인상에 대한 우려가 작용하면서 서울 주택가격(-0.09%)은 지난달 보합에서 하락 전환했다.

지역개발 기대감이 있는 용산구(0.05%)는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노원구(-0.45%)는 상계·중계동 구축 위주로, 도봉구(-0.32%)는 도봉·방학동 위주로 하락했다.

서초구(0.09%)의 상승폭이 축소 중인 가운데 매수자 움직임이 없는 강남구(-0.02%)는 하락 전환했다. 강서구(-0.12%)·구로구(-0.09%)는 매물 적체 영향으로, 송파구(-0.07%)는 잠실동 대단지 위주 거래가 하락했다.

아파트를 기준으로 하면 가장 하락폭이 큰 곳은 강북구(-0.51%), 도봉구(-0.55%), 노원구(-0.54%) 등 ‘노도강’이었다. 노도강의 아파트값 하락률은 주택 경기가 바닥을 치던 2013년 수준을 보였다.

경기(-0.16%)는 수도권 남부 주택가격 상승폭이 높았던 지역 위주로, 인천(-0.26%)은 신규 입주물량 영향 등으로 관망세가 길어지며 내림폭이 늘었다.

지방은 광주(0.01%)가 상승했지만 부산(-0.08%)은 하락 전환했고 울산(-0.09%)은 하락세가 이어졌다. 대구(-0.35%)는 매물 적체 영향 등으로 내림세가 계속됐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전국 아파트는 -0.20%, 연립주택은 0.00%, 단독주택은 0.22%를 각각 기록했고

수도권은 △아파트 -0.28% △연립 0.01% △단독 0.30%로 나타났고, 지방은 △아파트 -0.12% △연립 -0.01% △단독 0.20%로 집계됐다. 서울은 아파트가 -0.09%를 기록했고, 연립주택은 -0.01%, 단독주택은 0.34%로 나타났다.

전국 주택종합 전세가격은 -0.08%로 전월(-0.02%) 대비 하락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04%→-0.13%)과 서울(-0.02%→-0.07%), 지방(-0.01%→-0.04%) 모두 내림폭이 늘었다.

월세 전환과 갱신계약 영향으로 신규 전세수요 감소가 이어지는 가운데 금리인상에 따른 대출이자 부담이 가중되며 서울(-0.07%)과 경기(-0.12%)는 전셋값 하락폭이 늘었다. 인천(-0.34%)은 신규 입주물량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서울의 경우 노원구(-0.14%)는 상계·중계동 노후 단지 위주로, 마포구(-0.13%)는 도화동 위주로, 은평구(-0.10%)는 녹번·불광동 위주로 하락폭이 늘었다.

또 양천구(-0.15%)는 목동신시가지 위주로, 강서구(-0.12%)는 가양·내발산동 위주로, 송파구(-0.08%)는 잠실동 대단지 위주로 매물이 하향 조정되면서 하락폭이 확대됐다.

아파트 전세의 경우 전국은 -0.16%로 나타났고, 수도권은 -0.23%, 지방은 -0.10%로 집계됐다. 서울은 -0.11%였다.

전국 주택 월세는 0.16%로 상승폭이 전월과 같았다. 수도권은 0.19%, 지방은 0.14%, 서울은 0.07%로 집계됐다. 아파트로 한정하면 △전국 0.22% △수도권 0.25% △지방 0.19% △서울 0.10%로 나타났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